현장과 사람들[지방에서 국제개발협력 하기 #01] 지방도 함께 참여하는 한국 국제개발협력이 되기를

2022-10-26
조회수 1704



발전대안 피다는 서울과 중앙 정부, 전문가 및 관료로 대표되는 한국 국제개발협력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주변부'를 조명하기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매월 두 번째 피움을 통해 <지방에서 국제개발협력 하기>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본 시리즈를 통해 지방 소재 기관에서 활동하는 활동가, 지방 소재 대학에서 국제개발협력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학생과 연구자 등의 이야기를 다양하게 들려 드리고자 합니다.



지방에서 국제개발협력 하기 #01

지방도 함께 참여하는 한국 국제개발협력이 되기를


필자는 지방 소도시 출신으로, 대학교에 입학하기 전까지 지방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꿈은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시작되었으며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해당 분야를 희망해 왔다. 경희대학교에서 국제학을 전공했으며, 현재는 휴학하고 INGO에서 YP로 근무 중이다.


비기너의 입장에서 '지방에서 국제개발협력 하기'라는 주제를 다뤄 보고자 한다. YP를 경험해 보신 분들이라면 아시겠지만, 첫째로 지방 소재의 기관 갯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관련 전공인 국제학, 사회복지학, 정치외교학, 어학 등은 지방 소재 대학에도 있지만, 원하는 커리어를 쌓을 수 있는 곳은 수도권으로 한정된 구조적 문제가 있다. 2022년을 기준으로 서울∙경기도 제외하고 국제개발협력 전공이 설치된 학교는 부산외국어대학교 외교∙국제개발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국제개발협력전공,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행정학과 국제개발트랙,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충북대학교 행정학과 국제개발협력과 거버넌스 융합 전공의 총 6곳에 불과하다.


대부분의 경우, 비기너들은 커리어를 위해 수도권으로 상경한다. 국제개발협력 관련 포럼 및 세미나 또한 거의 서울에서 이루어진다. 물론, 코로나 이후 점차적으로 비대면 형식의 포럼이 가능해지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국제개발협력과 관련된 대다수의 대면 행사는 서울 및 수도권에서 개최된다. 또한, 대학에서 배우는 학문을 제외하고는 동종업계의 종사자를 만나기조차 힘들다. 국제개발협력 업계에서는 ‘인맥’ 또한 상당히 중요한 요소가 아니던가. 먼저 길을 걸어간 선배의 발자취가 내 곁에 없다는 것, 이를 비단 정보 격차의 문제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국제개발협력’에 대한 인식의 차이도 존재한다. 실제로 필자의 경우, 부모님과 친한 친구들 몇 명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지인들은 해당 분야에 대해 문외한이라 여겨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주로 유명 NGO 혹은 KOICA의 이름을 언급하며, '이러이러한 비슷한 일 해'라고 뭉뚱그려 말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실제로는 일의 성격이 천차만별임에도 불구하고.) 피움 3기 기자단으로 활동하고 있는  문소연 기자 역시 해당 문제에 대해 깊이 공감하고 있었다. 문 기자는 지방 소재 NGO에서 펀드레이징 업무를 수행한 적이 있었는데, 시민들 중 국제개발협력 및 펀드레이징에 대한 인식이 부재한 경우가 태반이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사실상 지방과 서울은 해당 스타트 포인트 자체가 다르다. 국제개발협력 업계의 특성상, 국책 연구 단지가 모여있는 세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커리어를 착실히 쌓아야 하는 비기너의 입장에서는 인프라가 부재한 지방에서 머무를 이유가 더 이상은 없는 것이다. 어쩌면, ‘굳이 지방에 남아있어야 하나’의 측면에 가깝다. 수도권 소재의 안정적이고 잘 구축된 인프라에서 일하는 걸 더 원하지 않을까? 


다행히도(?)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SDGs의 시대로 들어선 이후, 국제 사회는 국제개발협력의 지방 분권화를 추구하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의 원조격으로 불리우는 영국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임소진, 정상희. 2017. 국제개발협력의 지방분권화에 대한 소고: 영국과 독일의 원조정책 비교연구. 유럽연구 35(4): 35-64). 영국의 경우, 한국과 마찬가지로 지방 분권화를 매우 적극적으로 추진하지는 않는다. 다만,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지방 정부 차원의 역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지방 분권화 정책을 수립 및 적용하고 있다. 


앞서 언급했듯, 한국은 아직까지 국제개발협력의 지방 분권화가 매우 미약한 수준이다. 중앙 정부(KOICA 등) 총괄 및 수도권 집중적인 시스템을 벗어나, 지방 정부 및 기관들이 함께 참여하는 한국의 국제개발협력이 되기를 소망한다.



글쓴이: 피움 기자단 3기

최수은 (justlikehanna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