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곤포르노' 논란이 10년 넘게 지속되어 왔지만, 자극적인 이미지가 더 높은 모금 성과를 낸다는 경험적 인식이 NGO 내부에 여전히 깊이 자리잡혀 있습니다. 발전대안 피다는 이런 방식이 정말 불가피한 것인지, 더 나은 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해 (재)바보의나눔 공모배분사업의 지원을 받아 최근 2년간의 TV 모금광고 76개를 분석하고 제작 관계자 7명을 심층 인터뷰했습니다. 광고 속 메시지는 물론,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 안의 고민까지 살펴봄으로써 모금문화 변화를 위한 대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아래에서 연구보고서 전문 및 연구 후기를 담은 팟캐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연구보고서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 한국 국제개발협력 NGO의 TV 모금 캠페인 연구>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 한국 국제개발협력 NGO의 TV 모금 캠페인 연구>
'빈곤포르노' 논란이 10년 넘게 지속되어 왔지만, 자극적인 이미지가 더 높은 모금 성과를 낸다는 경험적 인식이 NGO 내부에 여전히 깊이 자리잡혀 있습니다. 발전대안 피다는 이런 방식이 정말 불가피한 것인지, 더 나은 방법은 없는지 살펴보기 위해 (재)바보의나눔 공모배분사업의 지원을 받아 최근 2년간의 TV 모금광고 76개를 분석하고 제작 관계자 7명을 심층 인터뷰했습니다. 광고 속 메시지는 물론, 그것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그 안의 고민까지 살펴봄으로써 모금문화 변화를 위한 대화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했습니다.
아래에서 연구보고서 전문 및 연구 후기를 담은 팟캐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연구보고서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 한국 국제개발협력 NGO의 TV 모금 캠페인 연구>
(보고서 다운로드: 본 게시물 하단 첨부파일)
2. 팟캐스트 <방구석개발협력> 179화: 모금의 안과 밖, 그리고 사이/발전대안 피다 인간존엄 모금문화 포럼 후기(바리, 먕지)
팟캐스트 링크: https://www.podbbang.com/channels/1776723/episodes/25064359